|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J Korean Gerontol Nurs Search

CLOSE

J Korean Gerontol Nurs > Volume 25(3):2023 > Article
고혈압 노인을 위한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횡단적 단면연구

Abstract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medication management program and to examine the program's effects of the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residing in the communit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57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intervention group: 29, control group: 28).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edication management program, which included the following: verbal and video education, individual counseling, and using medication note over 3 week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erms of their knowledge of hypertension and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Conclusion

The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 as indicated in knowledge of hypertension and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explore the medication management program’s effects on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using more rigorous research methods.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국내 65세 이상 노인의 고혈압 추정 유병자는 약 495만 명이며[1], 2021년 조사에 따르면 국내 70세 이상 노인의 66.4%가 고혈압으로 전년도 대비 6.3% 증가하였다[2]. 노인에게 고혈압은 흔하고 중요한 건강 문제로, 고혈압 노인이 혈압을 적정수준으로 관리하지 않을 경우 뇌졸중, 관상동맥질환과 같은 심뇌혈관 질환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증가한다[3]. 고혈압 치료는 목표혈압 달성을 위해 적극적인 생활요법 및 약물치료가 권고되며, 고혈압 약물을 잘 복용하는 환자의 혈압이 조절될 확률은 약을 잘 복용하지 않는 환자보다 3.4배 높았다[4]. 고혈압 치료에 있어서 약물치료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 노인 고혈압 환자 중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비율이 50.2%로 조사되었으며[5], 약물을 제대로 복용하더라도 노인의 경우 어지럼증, 저혈압 등 다양한 증상을 경험할 수 있어 젊은 환자들보다 더 많은 관찰이 필요하다[6]. 하지만 최근 독거노인 또는 노인부부의 가족형태가 증가하여 과거와 달리 노인들이 가족의 도움 없이 스스로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7]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약물관리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노인 대상의 복약관리 교육은 노인의 약물지식 및 약물 복약 이행도 증진에 기여하며[8], 고혈압 교육에 참여한 노인 고혈압 환자군은 참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12.4배 약물 복용 이행이 높았다[9]. 그럼에도 현재까지 국내에서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복약관리 프로그램을 한 연구의 수가 많지 않고 고혈압 노인을 대상으로 한 중재 연구[10,11]는 더욱 적어, 최근 증가하고 있는 노인 고혈압 유병률을 고려하였을 때[2] 더 많은 중재 연구의 시도가 필요하다.
성공적인 혈압관리를 위해서는 노인의 약물치료 이행도를 증진하여야 하는데[4] 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약물에 대한 지식 부족[12], 약물 복용에 대한 낮은 자기효능감[13], 의료인과의 부족한 의사소통[14] 등이 확인되었다. 약물에 대한 지식 부족은 약물 이행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노인의 신체 및 인지적 변화와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자가 이해하기 쉬운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8].
약물치료 이행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건강 행위를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복약순응증진 행위 변화를 중재하기 위해서는 복약 관련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자기효능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유용하다[10]. 선행연구[10]에서는 Bandura가 1977년 언급한 성취 경험, 언어적 설득 등의 자원을 활용한 복약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약물치료 이행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노인의 경우 처음에는 약을 잘 복용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의료진과 의사소통을 하지 않고 스스로 약을 중단하거나 약물 복용 시간과 약물 용량을 변경하는 경우가 많아[4] 노인 대상의 복약교육에서는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증진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7].
국내 고혈압 환자의 복약 이행 증진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 교육, 개별상담, 복약 보조도구의 활용, 약물목록 작성 등을 복합적용 하였을 때 약물치료 이행도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8,10,11]. 따라서 한 가지의 방법만을 적용하는 단일중재보다 통합적인 복약관리 중재가 더욱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 교육의 제공 방식은 COVID-19로 인한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감염 예방을 위해 노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교육 또한 온라인 방식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반복학습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 온라인 방식을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검증된 개별상담과 복약교육, 보조도구의 활용 등을 통합한 프로그램에 적용한다면 고혈압 노인의 복약 이행 증진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 기대되나 이와 관련한 중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지속적 건강관리를 위해 노인복지관을 방문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노인복지관은 전국 366개소에 69,786명의 노인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15]. 많은 수의 노인이 이용하는 노인복지관의 접근성을 통해 지지체계가 부족한 지역사회 노인에게 효과적인 복약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한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 뒤, 그 효과를 확인하고 노인복지관 간호사에 의한 만성질환관리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고혈압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혈압 지식, 복약자기효능감,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하나, 지역사회 고혈압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고혈압 노인의 고혈압 지식, 복약자기효능감,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3. 연구가설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할 가설은 아래와 같다.
가설 1.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고혈압 지식 점수 점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2.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복약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3.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가설 4.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 점수가 낮을 것이다.

연구방법

Ethic statem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Ewha Womans University (IRB No. ewha-202301-0018-01).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이 고혈압이 있는 노인의 고혈압 지식, 복약자기효능감,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1개의 노인복지관 및 어르신취업지원센터를 통해 모집 공고 후 의사로부터 고혈압 진단을 받고 항고혈압제를 1년 이상 복용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인지장애, 기질적 뇌질환이나 정신질환이 없이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읽고 쓰기가 가능한 자를 근접 모집단으로 표집하였다. 확산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실험군에, 어르신취업지원센터 이용자를 대조군에 편의 표집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G*power 3.1.9.4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에서 필요한 대상자 수는 두 집단의 평균차이를 비교하는 선행연구[16]를 근거로 효과크기 .4, 유의수준 .05, 검정력 .08을 기준으로 산출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26명으로 총 52명이었다. 그러나 20%의 탈락률을 고려하여 실험군, 대조군 각각 33명, 총 66명으로 연구대상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탈락자는 3회의 중재프로그램과 3회의 조사 중 1회라도 불참한 경우 제외하였으며 건강의 악화(3명) 및 개인사정(5명), 불성실한 답변(1명)으로 실험군 4명, 대조군 5명이 탈락하여 실험군 29명, 대조군 28명 총 57명이 최종 통계분석에 이용되었다(Figure 1).

3. 연구도구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 고혈압 지식, 복약자기효능감,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를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 5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도구는 사용 전 도구 개발자에게 사용에 대한 허락을 받은 이후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사전 문헌고찰을 통해 약물 복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고되었던 성별, 연령, 최종학력, 혼인상태, 평균 월수입을 포함하였으며, 약물 복용 개수, 약물 처방 의사 수, 약물 부작용의 경험, 고혈압을 진단받은 기간과 같은 약물 및 질병 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2) 고혈압 지식

Park과 Hong [17]이 개발한 도구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고혈압과 자기 조절의 인지적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1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에 대해 대상자는 ‘그렇다’와 ‘아니다’로 응답하였다. 정답일 경우 1점, 오답일 경우 0점으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고혈압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값은 .72였고, 본 연구에서는 .71이었다.

3) 복약자기효능감

Risser 등[18]이 개발한 약물 자기효능감 도구(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Scale, SEAMS)를 Park [19]이 번안한 도구에 의해 측정하였다. 약을 복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약을 복용하는 자기효능감과 다양한 상황에서 약물을 올바르게 복용하는 자신감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1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에 대해 그렇지 않다(1점), 그저 그렇다(2점), 매우 그렇다(3점)의 Likert 척도로 응답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복약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SEAMS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값은 .90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93이었다.

4)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

Hogan과 Kwan [20]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전략을 토대로 Lee [7]가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였으며 간호학 분야 전문가(간호학과 교수 1인)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복용하는 약물관련 상담, 알레르기 및 이상반응에 대한 상담, 약물 중단에 대한 상담, 새롭게 복용한 약물 및 처방받지 않은 약물에 대한 상담에 대한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에 대해 대상자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 보통이다(2점), 매우 그렇다(3점)의 Likert 척도로 응답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선행연구[7]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값은 .72였고, 본 연구에서는 .91이었다.

5)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

Kim 등[21]이 개발한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 측정 도구(Hill-Bone Medication Adherence Scale, HBMA)를 Song 등[22]이 번안한 도구에 의해 측정하였다.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8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에 대해 항상(4점), 자주(3점), 가끔(2점), 전혀(1점)의 Likert 척도로 응답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HBMA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값은 .80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85였다.

4. 연구진행

1) 프로그램 개발과정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DDIE) model을 이용하여 5단계의 과정(분석, 설계, 개발, 수행, 평가)으로 진행하였다.

(1) 분석

본 연구에서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국내 복약관리 중재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문헌검색은 한국학술정보(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누리미디어(DBpia), 학술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에 발표된 논문에서 이루어졌으며 검색어로는 노인, 고혈압, 복약, 약물관리를 입력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노인의 약물 복용실태와 지역사회 노인의 복약관리 교육 요구, 효과성이 있었던 중재[8,10,11,16]를 파악하여 의미 있는 내용을 도출하였다.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고혈압 교육 자료인 대한고혈압학회에서 일반인 대상으로 제작한 고혈압 표준 슬라이드 2019 [23]와 질병청 연구사업으로 진행하고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개정한 고혈압 표준교육자료 교육지침서(매뉴얼)[24]을 근거로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2) 설계

본 프로그램은 복약교육(대면 및 동영상 교육 3회), 개별상담(대면 1회, 전화 2회), 복약보조도구인 복약노트의 활용으로 구성되었다. 개별화된 개입과 복약수첩과 같은 투약보조도구는 복약관리 교육의 이해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8], 건강교육 시 동영상을 통한 교육이 의료진의 구두교육보다 대상자의 기억능력과 주의집중력을 높임으로 건강행동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25]. 또한 선행연구[8,16]에서 3주간의 프로그램 제공으로 복약증진과 관련한 유의미한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본 교육프로그램도 주 1회, 3주간의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3) 개발

프로그램 내용 구성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효과적이었던 방법과 전략을 기반으로 세부 중재내용을 구성하였다. 회차별 교육내용은 ‘1회차 고혈압 바로알기’, ‘2회차 고혈압 약물 바로알기’, ‘3회차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증진하기’로, 교육매체는 파워포인트와 동영상자료를 활용하기로 하였다(Table 1). 특히 노인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고혈압 지식제공을 위해 동영상 자료는 시각적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되 명확하고 단순하게 제작하였으며 회차별 대면 복약교육에서는 주제에 부합하는 긍정적인 경험과 측면에 대해 상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선행연구[10]에서 효과적이었던 성취 경험, 타인의 성공담을 통한 자기효능 증진자원을 활용한 것을 근거로 하였다. 복약노트의 구성에 있어서는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해 미리 질문사항을 메모하고 약물목록을 지참하여 병원에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는 선행연구[11]를 근거로 처방전을 부착할 수 있는 페이지를 별도 구성하고 최근 혈압측정 수치, 약물을 복용한 후 기록하는 체크리스트, 약물 복용 중 부작용 및 질문사항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노인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글자크기 16포인트 이상[8]으로 제작하였다. 개별상담은 약물치료 이행을 저해하는 고혈압 약물 부작용과 특이사항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일관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담 매뉴얼을 제작하였다.

(4) 수행

본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강의록, 복약노트, 동영상 제작 기획안 등을 간호대학 교수 1인, 노인복지관 간호사 1인, 약사 1인, 총 3인의 전문가 집단에게 자문을 받아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위 과정을 토대로 수정한 프로그램을 가상 구현해본 결과 노인인 대상자 특성상, 문자로 발송한 유튜브 링크를 통해 동영상 교육을 시청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어 이에 대한 안내를 실습시간에 포함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을 수정하였다. 동영상 시청 안내로 인해 프로그램 시간에 피로도를 느낄 수 있어 프로그램 시간은 10분 줄이는 것으로 재차 수정하였다. 또한 복약노트에 현재 복약중인 약물을 대상자가 기재할 때 다양한 어려움을 느낄 수 있어 처방전이나 약봉투를 붙여서 현재 복용중인 약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평가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의 가상 구현 이후 수정•보완된 최종안에 대해 고혈압을 진단받은 노인 2인에게 의견을 수렴하였고, 간호대학 교수 1인, 노인복지관 간호사 1인, 약사 1인, 총 3인의 전문가에게 프로그램에 대해 최종 자문을 받은 이후 대상자에게 적용할 자료를 제작하였다.

2) 프로그램 적용

본 프로그램은 복약교육(대면, 동영상)과 개별상담 및 복약노트를 활용하여 주 1회, 총 3주간 진행되었다. 복약교육에 앞서 개별상담을 10분씩 진행하였으며, 이때 대상자의 복약과 관련한 상황과 어려움을 확인한 후 복약노트를 배부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대면방식의 복약교육은 회당 30분간 시행하였으며, 다음 날 동일한 주제의 10분 길이의 동영상을 개별 참여자에게 문자로 전송한 후 전화상담을 진행했다. 전화상담의 내용은 동영상 시청에 어려움은 없었는지, 복약은 하였는지, 복약과 관련한 어려움은 없는지, 이전 학습내용에 대한 상기 등이었다. 단 첫 주의 경우는 대면 개별상담을 진행하였기에 별도의 전화상담은 진행하지 않았으며, 동영상 시청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연구자에게 연락할 수 있도록 문자안내하였다.

5.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3월부터 4월까지 약 두 달간 시행되었으며 사전조사, 프로그램 적용, 사후조사 1차, 사후조사 2차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사전조사로 일반적 사항(12문항),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5문항), 고혈압 지식(18문항), 복약자기효능감(13문항),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8문항)의 총 56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중재는 3주간 적용하였으며, 종료 후에 사전조사 1차로 실험군 및 대조군 모두 사전조사에서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내용의 설문지를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효과의 지속성 확인을 위해 진행한 사후조사 2차는 내부행사로 탈락률이 낮을 것이라 예상되는 사후조사 1차가 종료된 2주 후에 측정하였으며 사후조사 1차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가 1:1 면담을 통해 설문지 작성을 안내하였으며, 대면상담을 진행하였던 장소에서 실시하였다.

6.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2.0 프로그램(IBM Corp.)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으며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위해 χ2-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위해 정규성을 충족한 고혈압 지식은 Independent t-test, 정규성을 충족하지 않았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 복약자기효능감,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는 Mann-Whitney U-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시점별, 그룹 간 효과평가는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가 동질성을 충족하지 않았고, 모든 변수가 정규성을 충족하지 않아 일반화 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e equation)으로 검정하였다.

7.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ewha-202301-0018-01)을 받은 후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 실험군과 대조군 배정에 대한 설명을 하고 동의서에 서면으로 동의를 받았다. 익명성 보장과 면담 내용은 연구목적 이외에 사용되지 않을 것을 설명하였고 연구 설명문에 대상자의 권리를 공식화하여 동의권자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자가 노인임을 고려하여 동의서는 11~14포인트로 작성되었으며 시력 저하로 인해 동의서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돋보기를 준비하여 충분히 동의서 내용을 검토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또한 연구 과정 중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언제든지 불이익 없이 중단할 수 있음에 대해서 설명하고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를 알려주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게는 실험군과 동일한 복약노트를 제공하고 3회의 교육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1.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사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혼인상태, 평균 월수입, 복용 약물개수, 약물 처방 의사 수, 부작용 경험, 고혈압을 진단받은 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이 검정되었다(Table 2).
교육 전 실험군과 대조군은 고혈압 지식, 복약자기효능감,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이 동질하였으나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Z=-3.39, p≤.001) (Table 3).

2. 가설검정

1) 제1 가설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고혈압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일반화 추정방정식을 시행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 고혈압 지식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χ2=6.89, p=.009),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전과 사후검사 1차, 2차에서도 고혈압 지식 점수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2=.96, p=.002). 또한 집단과 시점의 교호작용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26.43, p<.001).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실험군의 고혈압 지식은 사전검사 23.37점에서 사후검사 1차에서 27.03점, 사후검사 2차에서 30.82점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사전검사 24.14점에서 사후검사 1차에서 25.07점으로 증가한 후 사후검사 2차에서 24.17점으로 감소하였다(Table 4).

2) 제2 가설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복약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복약자기효능감 점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χ2=2.93, p=.086),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1차, 2차 측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χ2=3.36, p=.067). 그러나 집단과 시점의 교호작용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어(χ2=4.06, p=.044), 제2 가설은 지지되었다. 복약자기효능감 점수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실험군은 사전검사에서 30.27점, 사후검사 1차에서 33.86점, 사후검사 2차에서 34.86점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사전검사에서 31.92점, 사후검사 1차에서 34.46점으로 증가하였다가 사후검사 2차에서 33.75점으로 감소하였다(Table 4).

3) 제3 가설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χ2=3.28, p=.070),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1차, 2차 측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χ2=2.01, p=.156), 실험군과 대조군 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였던 집단과 시점의 교호작용 결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χ2=2.77, p=.096) (Table 4).

4) 제4 가설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사전 동질성 검사에서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 점수는 동질성이 확보되지 않아 사전검사를 통제하여 사후검사 1차, 2차에 대해 일반화 추정방정식을 시행하였다. 고혈압 약물 이행도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χ2=3.11, p=.078),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후검사 1차, 2차 측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χ2=2.05, p=.152). 또한 집단과 시점의 교호작용 결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χ2=3.65, p=.056) (Table 4).

논의

본 연구는 고혈압 노인에게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프로그램은 복약교육(대면, 동영상)과 대면과 전화를 통한 개별상담 및 복약노트를 활용으로 구성되었으며, 고혈압 지식, 복약자기효능감 및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을 증진하여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중재를 통해 실험군의 고혈압 지식과 복약자기효능감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고혈압 지식 점수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전과 사후검사 1차, 2차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실험군의 경우 사전검사, 사후검사 1차, 사후검사 2차 세 시점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교육의 효과가 지속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보건진료소에 등록된 본태성 고혈압 대상자 120명을 대상으로 4회의 집단교육과 1회의 개별교육을 실시한 선행연구[26]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실험군의 고혈압 지식에 효과가 있었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후 지속성에 대한 검증이 함께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가 있었다. 이는 복약교육에 있어 대면방식과 동영상 제공을 병행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지식 증진을 위해 대면방식의 복약교육이 종료된 다음 날 동일 주제의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노인 대상자에게 반복적인 학습을 지원하였다. 본 연구처럼 복약프로그램은 아니지만 노인 대상자에게 동영상과 리플릿을 이용하여 낙상예방 교육 프로그램 제공했을 때 노인 입원 환자의 낙상예방 태도가 감소한 선행연구[27]를 미루어 보아 노인 대상자에게 동영상과 대면방식을 접목한 교육은 반복교육을 도와 효과성을 높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복약자기효능감은 집단과 시점의 교호작용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프로그램에서 복약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 실험군에게 대면 복약교육 시 토의시간을 통해 최근 성공적인 복약관리 경험을 나눌 수 있도록 하고, 개별상담을 통해 언어적 설득 등을 자원으로 활용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는 보건소에 등록된 고혈압 노인 64명에게 성취 경험, 언어적 설득, 타인의 성공담과 같은 효능자원을 활용한 중재를 통해 복약 관련 자기효능감이 증진된 선행연구[10]와 같은 결과로, 자기효능자원을 활용하는 중재는 노인의 복약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은 프로그램 중재를 통해 실험군의 사전조사, 사후조사 1차, 사후조사 2차에서 점진적인 점수 증가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병원 방문 전 질문사항을 미리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복용 약물을 목록화하여 병원 내방 시 지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 증진에 효과적이었다는 선행연구[11]와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전체 참여자 중 가장 높은 연령 비율은 80세 이상으로 59.6%를 차지하였으나, 선행연구는 70~79세 비율이 53.1%로 가장 높아 선행연구보다 본 연구에 더 고령의 노인이 참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기억력 저하 등과 같은 특성이 나타나며, 본 연구의 실험군 또한 병원에 내방하는 날에 복약노트를 소지하는 것을 잊거나 부담스러워 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 증진을 위한 보조도구로 별도의 복약노트가 아닌 늘 소지하여 다닐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등의 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사후검사 1차와 사후검사 2차만 분석하였으며 그룹 간, 시점 간, 시점에 따른 그룹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고혈압 노인을 대상으로 대면교육과 개별상담을 제공하여 실험군의 복약순응도가 향상된 선행연구[10]와는 상반되는 결과로, 본 연구와는 크게 두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먼저 중재기간의 차이로 선행연구[10]에서는 총 8주간 중재를 적용하였으나 본 연구는 3주로 비교적 짧은 기간 진행되었다. 둘째, 선행연구[10]에서는 간호사에 의한 혈압측정이 제공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에 의한 혈압측정을 포함하지 않았다. 이는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 증진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프로그램 적용과 간호사에 의한 혈압측정을 포함하는 직접적인 중재를 통해 의료인의 직접적 지지효과를 높이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한편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과 어르신취업지원센터 각 1개소에 등록된 대상자를 편의표집하였기에 연구결과를 모든 고혈압 노인으로 일반화하는 것에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두 기관의 특성상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확산과 같은 외생변수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어렵다.
세계보건기구는 약물 복용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5개 요인으로 나누고 여러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다차원적 현상이라 하였다[28]. 본 연구에서는 질병에 대한 이해, 자기효능감, 약물에 대한 지식 등과 같은 환자 관련 요인과 의료진과의 관계 등의 건강관리 시스템 요인은 일부 고려하였지만 다차원적 요인들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환자 관련 요인에 해당하는 고혈압 지식과 복약자기효능감은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자신감에서 유의한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건강 행위인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도를 증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고혈압의 약물치료 이행도를 높이기 위한 중재로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요인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고혈압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복지관 중심 통합 복약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노인들의 고혈압 지식, 복약자기효능감,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평균 전체 참여자 중 45.6%가 고혈압 약물을 포함하여 5개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본 프로그램에 참여를 통해 고혈압 지식과 복약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고혈압 약물치료 이행의 점수를 향상시켰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해당 결과를 통해 대면 및 동영상 복약교육과 개별상담, 복약노트를 활용을 통합한 복약관리 프로그램이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고혈압과 관련한 지식과 복약자기효능감을 증진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개 지역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편의표집을 하여 진행하였으므로 다수의 노인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 설계를 통한 반복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둘째, 노인의 특성과 다양한 복약 이행요인을 고려한 중재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노인복지관 간호사에 의한 약물관리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는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노인복지관 간호사들을 위한 약물관리 중재 지침의 개발을 제언하는 바이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Study conception and design acquisition - HM and DJ; Data collection - HM;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data - HM and DJ; Drafting and critical revision of the manuscript - HM and DJ
Conflict of interest
Dukyoo Jung has been editor-in-chief of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ince January 2021. She was not involved in the review process of this manuscript. Otherwise, there was no existing or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unding
None.
Data availability
Please contact the corresponding author for data availability.

ACKNOWLEDGEMENTS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Nurse Eun-Young Lee from Senior Welfare Center of Seoul and Su-Hwan Oh from Oz Pharmacy for their advice in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program in this research as well as Madam Se-Jung Yoon and Madam Soon-Rye Choi for their active feedback.

REFERENCES

1.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KSH) Hypertension Epidemiology Research Working Group. Korea Hypertension Fact Sheet 2021. Clinical hypertension [Internet]. KSH; 2021 Dec 13 [cited 2023 May 25]. Available from: http://www.koreanhypertension.org/reference/guide?mode=read&idno=4581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rends in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2021 [Internet]. Statistics Korea; 2023 Mar 20 [cited 2023 Jul 10].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77&tblId=DT_11702_N105&vw_cd=MT_ZTITLE&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docId=01482&markType=S&itmNm=%EC%A0%84%EA%B5%AD

3. Thomopoulos C, Parati G, Zanchetti A. Effects of blood pressure lowering on outcome incidence in hypertension: 7. Effects of more vs. less intensive blood pressure lowering and different achieved blood pressure levels - updated overview and meta-analyses of randomized trials. Journal of Hypertension. 2016;34(4):613-22. https://doi.org/10.1097/HJH.0000000000000881
crossref pmid
4. DiMatteo MR, Giordani PJ, Lepper HS, Croghan TW. Patient adherence and medical treatment outcomes: a meta-analysis. Medical Care. 2002;40(9):794-811. https://doi.org/10.1097/00005650-200209000-00009
crossref pmid
5. Bae SG, Jeon HJ, Yang HS, Kim BK, Park KS. Medication adherence and its predictors in community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5;15(3):121-8. http://doi.org/10.15384/kjhp.2015.15.3.121
crossref
6. Park SH. Diagnosis and treatment of senile hyperten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Autumn Academic Presentation. 2012;2012(2):275-80.

7. Lee JK. Factors associated with drug misuse behaviors among polypharmacy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6):554-63.

8. Park YI, Lee KY, Kim DO, Uhm DC, Kim JH. Medication status and the effects of a medicatio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4;25(3):170-9.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3.170
crossref
9. Hope CJ, Wu J, Tu W, Young J, Murray MD. Association of medication adherence, knowledge, and skills with emergency department visits by adults 50 years or older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2004;61(19):2043-9. https://doi.org/10.1093/ajhp/61.19.2043
crossref
10. Kim HJ, Song M. Effects of a medication adherence improvement program utilizing self-efficacy resources for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3;15(2):131-42.

11. Lee JK. Evaluation of a medication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elders with hypertension liv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267-75. https://doi.org/10.4040/jkan.2013.43.2.267
crossref pmid
12. Kerzman H, Baron-Epel O, Toren O. What do discharged patients know about their medica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5;56(3):276-82. https://doi.org/10.1016/j.pec.2004.02.019
crossref pmid
13. Kang SH, Ko E. Factors associ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among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21;33(2):189-201. https://doi.org/10.7475/kjan.2021.33.2.189
crossref
14. Kim MS, Kim YO. A convergence factors associ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among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21;12(12):125-37. https://doi.org/10.15207/JKCS.2021.12.12.125
crossref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urrent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2023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3 Jun 30 [updated Jul 17; cited 2023 Jul 10].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

16. Kim HJ, Kim KH. Effects of image-use medication education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misuse of medication in elderly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8;24(1):56-66. https://doi.org/10.22650/JKCNR.2018.24.1.56
crossref
17. Park Y, Hong Y. An effect of the self-regul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s: synthesis & testing of Orem and Bandura’s theory.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994;5(2):109-29.

18. Risser J, Jacobson TA, Kripalani S.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Scale (SEAMS) in low-literac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07;15(3):203-19. https://doi.org/10.1891/106137407783095757
crossref pmid
19. Park M. Effects of interactive pictorial education o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self efficacy and knowledge for safe med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6):795-804. https://doi.org/10.4040/jkan.2011.41.6.795
crossref pmid
20. Hogan DB, Kwan M. Patient sheet: tips for avoiding problems with polypharmacy.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06;175(8):876. https://doi.org/10.1503/cmaj.060888
crossref pmid pmc
21. Kim MT, Hill MN, Bone LR, Levine DM.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hill-bone compliance to high blood pressure therapy scale. Progress in Cardiovascular Nursing. 2000;15(3):90-6. https://doi.org/10.1111/j.1751-7117.2000.tb00211.x
crossref pmid
22. Song Y, Han HR, Song HJ, Nam S, Nguyen T, Kim MT. Psychometric evaluation of hill-bone medication adherence subscale. Asian Nursing Research. 2011;5(3):183-8. https://doi.org/10.1016/j.anr.2011.09.007
crossref pmid
23.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KSH). Hypertension standard slides for the general public 2019 [Internet]. KSH; 2020 Feb 18 [cited 2023 May 25]. Available from: https://www.koreanhypertension.org/reference/guide?mode=read&idno=4361

2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Education guide for hypertension standard education [Internet]. KDCA; 2014 Apr 24 [cited 2023 May 25].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filepath/boardSyview.es?bid=0021&list_no=127644&seq=70

25. Kook MJ. A study on the effect and application of motion picture materials in geography subject.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03;11(3):119-32.

26. Jeong BS, Gang HG, Gwak MY, Kim ES, Kim HY, Bak ES, et al. Effects of biophysical index, knowledge, and self management compliance of patients with primary hypertension by a self management compliance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3):551-60. https://doi.org/10.4040/jkan.2006.36.3.551
crossref pmid
27. Kang YO, Song RY. Effects of fall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s, prevention behaviors, and satisfaction among elderly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8;30(1):49-59. https://doi.org/10.7475/kjan.2018.30.1.49
crossref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Adherence to long-term therapies: evidence for action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cited 2023 Jul 7]. Available from: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42682/9241545992.pdf

Figure 1.
Flow chart of the study.
jkgn-2023-00052f1.jpg
Table 1.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Program
Session Topic Content Time (minute) Method
1 Understanding hypertension 1. Individual counseling in early phase 20 Face-to-face
-Check the current phenomenon of taking medication and difficulties
-Hand out a medication note and guide how to use
2. Face-to-face medication education session 30 Group lecture
-Orientation: introduction of purpose and contents of program
-Causes, diagnoses, complications, and management about- hypertension
-Learn how to take video class
-Summary of lesson and Introduction of the next session
3. Video medication education session 10 Video
-Watch the training video uploaded in YouTube
: Iterative learning about face-to-face medication session
2 Understanding hypertension 1. Face-to-face medication education session 30 Group lecture
-Importance of medication for hypertension
-Types of hypertension medicines
-Side effects of hypertension medicines and interactions
-The right use of hypertension medicines
-Discussion and Q&A sessions
-Reinforce to use the medication note
-Introduction of the next session
2. Video medication education session 10 Video
-Watch the training video uploaded in YouTube
: Iterative learning about face-to-face medication session
3. Telephone counseling 10 Telephone
-Checking of watching video training
-Reaffirmation of contents about face-to-face medication session
-Checking for medication use, side effects and difficulties of medication
-Consultation on questionable content
-Support and encouragement for the continuing medication use
3 Enhancing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1. Face-to-face medication education session 30 Group lectur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s
-Who should we communicate with?
-Communication contents with medical staffs
-How to communicate with medical staffs
-Reinforce to use a medication note
-Summary of medication management program
-Closing
2. Video medication education session 10 Video
-Watch the training video uploaded in YouTube
: Iterative learning about face-to-face medication session
3. Telephone counseling 10 Telephone
-Checking of watching video training
-Reaffirmation of contents about face-to-face medication session
-Checking for medication use, side effects and difficulties of medication.
-Consultation on questionable content
-Support and encouragement for the continuing medication use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Homogeneity Test Between Groups (N=57)
Characteristic Category Overall (n=57) Exp. (n=29) Cont. (n=28) χ2 or t p-value
Sex Male 31 (54.4) 13 (44.8) 18 (64.3) 2.17 .186
Female 26 (45.6) 16 (55.2) 10 (35.7)
Age (year)* 65~69 2 (3.5) 1 (3.4) 1 (3.6) 0.41 .890
70~79 21 (36.8) 10 (34.5) 11 (39.3)
≥80 34 (59.6) 18 (62.1) 16 (57.1)
Education* ≤Elementary school 15 (26.3) 10 (34.5) 5 (17.9) 5.71 .117
Middle school 6 (10.5) 4 (13.8) 2 (7.1)
High school 29 (50.9) 14 (48.3) 15 (53.6)
≥College education 7 (12.3) 1 (3.4) 6 (21.4)
Marital status* Married 25 (43.9) 10 (34.5) 15 (53.6) 2.49 .302
Not married or divorce 8 (14.0) 4 (13.8) 4 (14.3)
Bereaved 24 (42.1) 15 (51.7) 9 (32.1)
Average monthly income (Korean won)* ≤100 33 (57.9) 19 (65.5) 14 (50.0) 2.55 .677
101~200 12 (21.1) 5 (17.2) 7 (25.0)
201~300 6 (10.5) 2 (6.9) 4 (14.3)
≥301 3 (5.3) 2 (6.9) 1 (3.6)
Unknowingness 3 (5.3) 1 (3.4) 2 (7.1)
Number of medications* 1 7 (12.3) 3 (10.3) 4 (14.3) 0.92 .974
2 13 (22.8) 6 (20.7) 7 (25.0)
3 8 (14.0) 4 (13.8) 4 (14.3)
4 3 (5.3) 2 (6.9) 1 (3.6)
≥5 26 (45.6) 14 (48.3) 12 (42.9)
Number of doctors prescribing drugs* 1 30 (52.6) 14 (48.3) 16 (57.1) 1.31 .922
2 14 (24.6) 7 (24.1) 7 (25.0)
3 8 (14.0) 5 (17.2) 3 (10.7)
4 2 (3.5) 1 (3.4) 1 (3.6)
≥5 3 (5.3) 2 (6.9) 1 (3.6)
Experience of drug side effects Yes 21 (36.8) 10 (34.5) 11 (39.3) 0.14 .707
No 36 (63.2) 19 (65.5) 17 (60.7)
Period of hypertention diagnosised (year) 14.11±10.42 15.24±9.90 12.93±10.99 0.83 .407

Values are presented as n (%) or mean±standard deviation.

* Fisher’s exact result; Cont.=Control group; Exp.=Experimental group.

Table 3.
Homogeneity Test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Group (N=57)
Variable Overall (n=57) Exp. (n=29) Cont. (n=28) t/Z p-value
Knowledge of hypertension 23.75±4.67 23.37±4.27 24.14±5.10 -0.61 .543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31.08±5.51 30.27±4.80 31.92±6.13 -0.32 .747
Confidence in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15.50±3.10 11.86±3.11 13.17±3.00 -1.90 .057
Medication adherence 10.78±2.47 11.51±1.63 10.03±2.96 -3.39 <.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Cont.=Control group; Exp.=Experimental group.

Table 4.
Effects of Medication Education on Dependent Variables
Variable Knowledge of hypertension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Confidence in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Medication adherence
Exp. (n=29) Cont. (n=28) Exp. (n=29) Cont. (n=28) Exp. (n=29) Cont. (n=28) Exp. (n=29) Cont. (n=28)
Pre-test 23.37±4.27 24.14±5.10 30.27±4.80 31.92±6.13 11.86±3.11 13.17±3.00 - -
Post-test 1 27.03±4.73 25.07±4.53 33.86±5.20 34.46±4.93 13.82±2.13 14.10±1.68 10.10±2.41 9.71±1.94
Post-test 2 30.82±4.48 24.17±4.61 34.86±3.97 33.75±6.40 13.89±2.09 13.96±2.50 10.75±3.65 9.14±2.44
Group 6.89 (.009) 2.93 (.086) 3.28 (.070) 3.11 (.078)
Time 0.96 (.002) 3.36 (.067) 2.01 (.156) 2.05 (.152)
Group*Time 26.43 (<.001) 4.06 (.044) 2.77 (.096) 3.65 (.056)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χ2 (p-value). Cont.=Control group; Exp.=Experimental group.

Editorial Office
College of Nursing,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03760 Republic of Korea
Tel : +82-2-3277-6693   Fax : +82-2-3277-6693   E-mail: editor@jkgn.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by The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