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학사과정의 노인간호학 핵심역량, 교과내용, 학습목표 개발

Baccalaureate Competencies and Curriculum in Gerontological Nursing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Gerontol Nurs. 2018;20(2):76-85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8 August 31
doi : https://doi.org/10.17079/jkgn.2018.20.2.76
1Department of Nursing, Baekseok University, Cheonan, Korea
2Division of Nursing,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3College of Nursing,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4School of Nursing,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5College of Nursing,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6Department of Nursing, Baekseok Culture University, Cheonan, Korea
7Department of Nursing, Inje University, Busan, Korea
8Department of Nursing, Far East University, Eumseong, Korea
9College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0Nursing Department, Minamdong-ui Long-term Care Hospital, Busan, Korea
11Department of Nursing, Songdam College, Youngin, Korea
12College of Nursing,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13College of Nur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14College of Nursing, Sungshin University, Seoul, Korea
15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6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7College of Nursing, Jungwon University, Chungbuk, Korea
18College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백성희1orcid_icon, 신동수2, 장성옥3orcid_icon, 홍귀령4, 권수혜5, 김미소3, 김수진6, 김혜령7, 김춘길2, 박경옥8, 박명화9, 서은경10, 성미라11, 송민선12, 송준아3, 신용순4, 염혜아13, 오은미4, 임경춘14, 장혜영4, 정덕유15, 탁성희16, 하은호17, 조은희,18orcid_icon
1백석대학교 간호학과
2한림대학교 간호학부
3고려대학교 간호대학
4한양대학교 간호학부
5고신대학교 간호대학
6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7인제대학교 간호학과
8극동대학교 간호학과
9충남대학교 간호대학
10미남동의 요양병원
11용인송담대학교 간호학과
12건양대학교 간호대학
13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14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15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16서울대학교 간호대학
17중원대학교 간호학과
18연세대학교 간호대학
Corresponding author: Cho, Eunhee College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50 Yonsei-ro, Seodaemun-gu, Seoul 03722, Korea. Tel: +82-2-2228-3251, Fax: +82-2-392-5440, E-mail: ehcho@yuhs.ac
Received 2018 July 2; Revised 2018 July 23; Accepted 2018 August 14.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competencies and core curriculum for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in programs towards a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BSN).

Methods

From June 2015 to January 2016, competencies and core curriculum from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were analyzed using a literature review, along with an analysis of the current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um in Korean BSN programs. Competencies and core curriculum of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for gerontological nursing were determined through expert panel discussions in the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Results

Data were collected from 30 BSN programs in Seoul, Kyunggido, Kangwondo, Chungchungdo, Kyungsangdo, and Jeollado. Compared with the core curriculum for gerontological nursing recommended by the National Gerontological Nursing Association, there were deficiencies in legal/ethical issues, administrative issues, nursing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and care and service delivery. From the data and panel discussion, 13 competencies and core curriculum including 6 contents, 32 programs, and 197 learning objectiv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Conclusion

Use of the recommended curriculum from this study can address deficiencies in baccalaureate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but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extbooks based on the recommended 13 competencies and core curriculum including 6 contents, 32 programs, and 197 learning objectives.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평균수명의 증가에 따라 노인인구가 2000년 7.2%에서 2015년 12.8%로 증가하였으며, 2026년 20.0%, 2058년에는 40.0%를 초과할 전망이다[1]. 특히 고령자 중 80세 이상 노인의 증가가 뚜렷하여 이로 인한 치매 및 와상 노인, 장기요양보호 노인에 대한 간호 요구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2,3]. 이에 대처하기 위해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가 도입되었고, 도입된 지 10년이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요양시설에 종사하는 간호사 외에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간호교육계에서는 1981년 노인간호학 교과목이 처음 개설되었으며, 이후 노인간호학의 중요성이 증가되면서 1997년 42개 4년제 간호대학의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결과 전체의 90.5%가 노인간호학을 독립된 과목으로 교육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 더 나아가 노인간호학 교육에 대한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한 2013년 연구결과에서는 노인간호학에 대한 관심이 최근 더욱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5], 노인요양시설 뿐 아니라 다양한 임상현장에서도 노인대상자의 간호요구도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노인간호학은 교과목의 표준 교육과정조차 개발되어있지 않고, 몇몇 간호교육기관에서는 노인간호학의 교과내용을 성인간호학 내에서 일부 다루고 있는 실정이다.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및 장기요양보호가 필요한 노인의 증가는 노인간호학 교육요구도를 증가시키고 있지만 간호교육계에서는 이에 대한 준비가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이제 노인간호학은 자리매김을 더욱 확고히 할 시점에 있다. 병원, 노인요양시설, 보건소, 노인복지센터, 주간보호센터, 방문간호서비스 등 다양한 노인간호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간호사의 역할 또한 커지고 있다. 이에, 고령화 사회로의 급격한 이행과 함께 노인간호에 대한 수요 증대와 질적 향상이 요구되는 현시점에서 노인간호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지식을 함양하기 위한 간호교육에서의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6]. 간호대학은 학생들에게 양질의 노인간호학 교육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노인 대상자의 다양하고 고유한 요구[7]에 부응할 수 있도록 노인 및 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갖추고, 지식과 기술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5]. 따라서 노인간호의 교육 내용에 있어서도 이러한 측면들이 반영되는 간호교육의 변화가 시급히 요구된다.

국내 연구의 경우 노인간호학 교과과정 모형개발연구[3],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에 대한 조사연구[8], 간호학 학사과정 내 노인간호학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5], 노인간호학 개설현황 및 교과과정 조사연구[9], 노인간호학 담당교수나 노인간호를 담당하고 있는 간호사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10] 등 노인간호학 교과의 조사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간호학 교육을 위해 표준 교과과정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5] 노인간호학 핵심역량과 학습목표 설정 방향에 대한 제시가 미비한 상태이다. 학생들은 교과과정을 통해 간호의 지식과 기술을 체계화하므로 간호현장에서 대상자가 원하는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유능한 간호사의 배출은 교과과정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9].

따라서, 사회 요구에 부응하는 노인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간호사의 양성을 위해서는 학부 노인간호 교육을 통해 달성해야 하는 핵심역량과 노인간호의 방향 제시가 될 수 있는 표준교과과정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 노인간호학 교육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정착을 위해 핵심역량과 표준교과과정을 제시할 것이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국외 노인간호학 교육의 핵심역량과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국내 간호교육기관에서의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의 현황을 분석한 후 전문가 패널의 논의를 통해 학부 노인간호학 교육의 핵심역량과 표준 교과과정 마련을 위해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국외 학부과정 노인간호학의 핵심역량과 교과과정을 분석한다.

  • 국내 학부과정 노인간호학 교과과정 현황을 분석한다.

  • 학부과정 노인간호학의 핵심역량을 도출한다.

  • 학부과정 노인간호학의 교과과정 표준화를 위한 대영역, 중영역, 학습목표를 도출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한국 간호대학(간호학과, 간호학부)의 학부 노인간호학 교과과정 표준화를 위한 핵심역량과 표준 교과과정 및 학습목표 도출을 위해 문헌고찰, 횡단적 조사 및 분석, 전문가 패널의 방법을 혼용한 혼합연구설계를 이용하였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국의 4년제 간호대학 중 노인간호학이 개설되어 있는 간호교육기관 120개교에 이메일로 강의계획서를 요청하였다. 자료 요청 시 이메일에 회신하는 것을 동의서로 대신하는 것을 명시하였다. 총 30개교가 회신하여 응답률은 25.0%였다. 패널토의에 참여한 전문가는 17개 간호대학과 1개 요양병원 소속인 노인간호학회의 전현직 이사 24명이다.

3. 자료수집 및 분석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6월부터 2016년 1월까지이다. 전국의 4년제 간호대학에 이메일을 통하여 먼저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설명하여 연구협조의 동의를 구하였으며, 동의를 한 간호교육기관의 노인간호학 담당 교수자를 통해 자료분석을 위한 강의계획서를 받았다. 강의계획서를 통하여 불확실한 내용 및 부족한 부분은 유선을 통해 정확히 확인하여 자료의 오류를 방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국외의 문헌분석과 국내 노인간호학 교과과정 현황분석을 토대로 2회의 노인간호학회 전문가(제9기 노인간호학회 이사 14명) 패널토의를 통해 학부 노인간호학의 핵심역량과 교과과정의 대분류와 중분류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후 핵심역량과 교과과정의 대분류와 중분류의 초안은 노인간호학회 회원 전체를 대상으로 시행된 워크숍을 통해 수정되었다. 노인간호학회 전문가(제 10기 노인간호학회 이사 14명) 패널은 총 3회의 워크숍을 통해 수정된 핵심역량과 교과과정의 대분류와 중분류를 바탕으로 핵심역량과 교과과정의 대분류와 소분류를 보완하고, 학습목표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국의 노인간호학 교수에게 핵심역량, 교과과정의 대분류, 중분류, 학습목표에 대한 의견수렴을 하여 최종 핵심역량, 교과과정의 대분류, 중분류, 학습목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1. 국외 노인간호학 핵심역량과 교과과정

미국의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AACN)은 학부 노인간호학에 필요한 19개의 핵심역량을 제시하였고, 각 핵심역량을 달성하기 위해 교과과정에 포함될 내용을 제시하였다[11]. 19개의 핵심역량은 1) 노화에 대한 전문직 태도와 가치, 2) 노인대상자에게 효과적인 정보제공, 3)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한 노인의 요구사정, 4) 노인의 물리적/사회적 환경 평가, 5) 자원을 활용한 효과적인 중재, 6) 노인학대 사정 및 중재, 7) 노인증후군 예방 및 관리, 8) 노인 의료서비스 비용증가와 요구의 다양성과 복잡성 이해, 9) 급, 만성질환의 복합적인 상호작용, 10) 다양한 노인간호 전달체계 및 모델, 11) 윤리적이고 비강압적 의사결정, 12) 억제대 비사용 케어, 13) 리더십과 의사소통 능력, 14) 급성기,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간 안전하고 효과적인 전환(transitions), 15) 대상자 중심 간호(patient-centered care), 16) 완화요법 및 호스피스간호, 17) 서비스질과 환자안전 강화, 18) 안녕증진을 위한 자원 및 프로그램 활용, 19) 환자중심간호 제공시 이론과 개념의 통합능력에 관한 핵심역량을 포함한다. 또한, 미국 National Gerontological Nursing Association (NGNA)는 노인간호학의 핵심교과내용을 제시하였다[12]. NGNA의 핵심교과내용은 노인간호학에서 필수적으로 교육되어야 할 내용을 제시한 것으로 노인간호학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을 9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서 교육되어야 할 내용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9개의 영역으로는 1) 노인간호학 개요, 2) 노인간호 이슈 및 경향, 3) 노인간호의 법적/윤리적 이슈, 4) 노인간호의 행정적 이슈, 5) 노인간호 연구, 6) 노인간호 서비스 전달체계, 7) 노인의 환경문제, 8) 간호사정 및 자료수집, 9) 주요 건강문제를 제시하였다.

2. 국내 노인간호학 교과과정 운영 현황

본 연구에 참여한 30개 대학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참여 대학 중 사립학교의 비율은 83.0%였으며, 소재지는 서울이 30.0%로 가장 높고, 다음은 경기도 24.0%, 경상도 20.0%, 강원도 13.0%, 충청도 10.0%, 전라도 3.0%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 운영체계는 간호대학이 53.0%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다음은 간호학과 40.0%, 간호학부 7.0% 순으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N=30)

국내 30개 대학의 노인간호학 교과내용을 미국 NGNA에서 제시한 핵심교과내용에 근거하여[12]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노인간호학 개요 영역에서는 전문직으로서의 노인간호에 대해 30개교(100.0%)가 기본개념과 노인간호 전문직 단체의 기능과 역할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노인간호의 이슈 및 경향 영역에서는 노화이론 24개교(80.0%), 노인인구학적 변화와 노화과정은 각각 23개교(76.7%), 노인에 대한 잘못된 신념, 태도는 각각 1개교(3.3%) 순으로 다루고 있었다. 노인간호의 법적/윤리적 이슈 영역에서는 노인대상자의 권리와 전문직 책임, 그리고 노인간호의 법적/윤리적 문제, 간호활동의 법적 해석에 대해 22개교(73.3%)가 다루고 있었다. 노인간호의 행정적 이슈 영역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등의 정책 22개교(73.3%), 의사소통 6개교(20.0%)와 교육적 이슈에서 건강교육과 상담 8개교(26.7%)가 다루고 있었다. 노인간호 연구영역에 대해서는 모든 대학에서 간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간호 서비스전달체계 영역에서는 6개교(20.0%)에서 장기요양시설간호와 지역사회 지지망, 간호계획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노인의 환경문제 영역에서는 거주형태와 이송 및 기동성 17개교(56.7%), 윤리적/문화적 다양성 6개교(20.0%), 범죄와 노인학대 21개교(70.0%)가 다루고 있었다. 간호사정 및 자료수집 영역에서는 건강력, 기능사정, 면담기술, 인지기능사정, 생활양식, 사회적 지지와 지지망의 사정에 대해 각각 18개교(60.0%)가 다루고 있었다. 주요 건강문제 영역에서는 심맥관계, 호흡기계, 근골격계, 피부계, 소화기계, 신경계/치매, 저체온증/고체온증, 인지적 변화(섬망)에 대해 26개교(86.7%)가 다루고 있었고, 영양관리 20개교(66.7%), 노인 요실금 3개교(10.0%), 운동과 활동 21개교(70.0%), 수면문제 19개교(63.3%), 약물관리 24개교(80.0%), 사별 및 애도(Grief) 11개교(36.7%), 배회 12개교(40.0%), 성 15개교(50.0%), 자살 11개교(36.7%), 정서적 변화 12개교(40.0%)가 다루고 있었다. 기타 보완대체요법과 노인재활에 대해 각각 1개교(3.3%)가 다루고 있었다. 분석결과 미국 NGNA에서 제시한 핵심교과내용 중에서 노인간호의 법적/윤리적 이슈 영역의 간호전문직 윤리강령, 사전동의(informed consent), 의료과실에 대한 내용과 노인간호의 행정적 이슈 영역에서 평가, 규제와 보험수가 등 대부분의 내용, 노인간호연구 영역은 국내 노인간호 교육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었고, 노인간호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교육도 미비한 수준이었다.

Curriculum Analysis of Gerontological Nursing Programs (N=30)

3. 학부 노인간호학 표준 교과과정 제안

본 연구결과 학부 노인간호학에서 달성해야 할 핵심역량은 13개가 도출되었고, 교과과정에서 포함되어야 할 표준 교과과정으로 대분류 6개, 중분류 32개, 학습목표 197개가 도출되었다(Table 3). 미국의 AACN [11]이 제시한 학부 노인간호학에 필요한 19개의 핵심역량을 토대로 한국노인간호학회 전문가 패널의 논의를 통해 13개의 핵심역량을 제시하였다. AACN 핵심역량 1번 노화에 대한 전문직 태도와 가치, 그리고 핵심역량 19번 환자중심간호 제공시 이론과 개념의 통합능력은 ‘1. 노인과 가족을 대상으로 간호를 제공할 때 관련 이론과 개념을 통합하고, 신체적, 정신적 노화에 대한 전문직 태도, 가치와 기대를 반영할 수 있다.’는 핵심역량으로 통합하였다. 또한, AACN 핵심역량 3번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한 노인의 요구사정과 핵심역량 4번 노인의 물리적/사회적 환경 평가는 ‘2. 노인 간호를 수행하기에 타당하고 신뢰할만한 사정도구를 사용하여 노인의 기능적,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그리고 사회적 욕구를 사정할 수 있다.’로 통합하였다. AACN 핵심역량 5번과 14번인 자원을 활용한 효과적인 중재능력과 급성기,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간 안전하고 효과적인 전환(transitions)은 ‘3. 생활 환경의 분석과 유용한 지역사회 자원을 중심으로 노인과 가족에게 간호의 수준에 따른 안전하고 효과적인 선택을 하도록 촉진할 수 있다.’로 통합하였다. AACN 핵심역량 6번인 노인학대 사정 및 중재는 본 연구에서는 ‘4. 노인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정적인 학대, 자기무시와 같은 실제적 혹은 잠재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적절한 곳에 연결시킬 수 있다.’로 제시하였다. AACN 핵심역량 7번인 노인증후군 예방 및 관리는 본 연구결과 ‘5. 노인 증후군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근거중심 지침을 사용하거나 전략을 수행할 수 있다.’로 제시하였고, AACN 핵심역량 8번인 노인 의료서비스 비용증가와 요구의 다양성과 복잡성 이해는 ‘6. 노인 돌봄과 관련된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로 제시하였다. AACN 핵심역량 9번 급, 만성질환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은 ‘7. 노인 대상자의 치료에 있어서 신체 ‧ 정신적 상태에 따른 급 ‧ 만성동반질환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인식할 수 있다.’, AACN 핵심역량 10번, 12번, 17번인 다양한 노인간호전달체계 및 모델, 억제대 비사용 케어, 서비스질과 환자안전 강화는 ‘8. 노인의 안전을 도모하고 양질의 신체적 정신적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기반 실무를 이행할 수 있다.’로 제시하였다. AACN 핵심역량 11번 윤리적이고 비강압적 의사결정은 ‘9. 노인과 가족 돌봄 제공자가 윤리적이고 비강압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촉진할 수 있다.’로 제시하였고, AACN 핵심역량 13번인 리더십과 의사소통 능력은 ‘10. 노인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전문가와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리더십과 의사소통술을 적용할 수 있다.’로 제시하였다. 또한, AACN 핵심역량 15번 대상자 중심 간호(patient-centered care)는 ‘11.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을 고려한 대상자 중심 간호를 계획할 수 있다.’로 제시하였고, AACN 핵심역량 16번 완화요법 및 호스피스간호는 ‘12. 신체적, 인지적 장애가 있는 노인에게 적절하게 완화요법, 호스피스 간호를 제공하여 지지할 수 있다.’, AACN 핵심역량 18번 안녕증진을 위한 자원 및 프로그램 활용은 ‘13. 노인의 기능적, 신체적, 정신적 안녕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로 제시하였다. 반면, AACN 핵심 역량 2번 노인대상자에게 효과적인 정보제공에 대한 내용은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13개 핵심역량에 포함되는 내용이므로 독립된 핵심역량으로 제시하지는 않았다.

Recommended Competencies and Core Curriculum for Gerontological Nursing

대분류로는 고령화 사회와 노인간호 이해, 노인간호 윤리와 법, 노인간호 서비스전달체계, 노인건강증진, 노인의 안전과 환경, 노인의 건강문제와 간호 영역으로 총 6개 영역이 제안되었다. 고령화 사회와 노인간호 이해 대분류에는 노인인구의 특성, 정상적인 노화과정, 노화이론, 노인과 가족, 노인간호의 기능과 역할이 중분류로 포함되었고, 노인간호 윤리와 법 영역에서의 중분류는 노인간호의 윤리적 측면, 노인간호의 법적 측면, 노인학대를 포함한다. 노인간호 서비스전달체계 영역에서의 중분류는 노인간호서비스의 연속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급성기 노인간호, 재가노인간호, 요양시설노인간호이며, 노인건강증진 영역에서의 중분류는 건강검진, 건강교육 및 상담, 자기관리를 포함하고, 노인의 안전과 환경 영역에서는 노인안전관리 이해, 낙상예방 및 관리, 억제대 비사용 접근, 안전한 약물사용을 중분류로 포함한다. 노인의 건강문제와 간호영역에서는 포괄적 노인사정, 노인증후군, 치매, 섬망, 우울증 및 자살, 요실금, 변실금, 전립선비대증, 요로감염, 욕창, 영양불량 및 탈수, 수면장애, 통증, 노인성 난청, 백내장, 황반변성, 친밀감과 성, 임종과 사별의 중분류를 다루도록 하였다. 각 중분류에 따라 3~11개의 학습목표를 제시하였다.

논 의

본 연구는 학부 노인간호학의 핵심역량과 표준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노인간호학회에 의해 수행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국외 노인간호학 교육의 핵심역량과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국내 간호교육기관에서의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의 현황을 분석한 후 노인간호학회 전문가 집단의 논의를 통해 학부 노인간호학 교육의 핵심역량과 표준 교과과정을 도출하였다. 국내 간호학 학사과정에서 노인간호학 교과목이 대부분 2학점으로 운영되는 현황임을 고려하여[5], 본 연구의 핵심역량과 표준교과과정 내용은 다른 교과과정과 중복되는 내용을 제외하고 학부 노인간호학에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부 노인간호학에서 달성해야 할 핵심역량은 13개가 제안되었고, 표준교과과정으로 대분류 6개, 중분류 32개, 학습목표 197개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의 학부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을 미국 NGNA의 핵심교과내용에 의해 분석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학의 70.0% 이상에서 노인간호의 개요, 노인인구학적 특성, 노화이론, 노화과정, 노인대상자의 권리, 전문직 책임, 간호활동의 법적 해석, 정책개발, 노년기 건강문제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15년 전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에 대해 조사한 연구결과[8]는 노화과정, 노화이론, 노년기 건강문제 및 간호문제이었고, Yun [9]의 연구결과에서는 노인의 건강이해, 노인의 건강사정, 노인의 건강증진, 노인과 질병, 지역사회와 노인건강이 주요내용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에 대해 조사한 기존연구[8,9]와 비교하면 노인간호의 이슈와 경향, 법적/윤리적 이슈, 행정적 이슈 영역의 내용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의 이러한 변화는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장기요양노인의 증가로 인해 노인의 보건의료 요구가 다양화되고,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이 경과함에 따라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미국 NGNA에서 제시하고 있는 노인간호학의 핵심교과내용과 비교시 우리나라의 노인간호학 교과내용에서 간과되고 있는 내용이 여전히 많았다. 노인간호의 법적/윤리적 이슈 영역, 노인간호의 행정적 이슈 영역, 노인간호연구 영역, 노인간호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교육내용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결과로 제안하는 표준교과과정에서는 노인간호 윤리와 법 영역과 노인간호 서비스전달체계 영역을 대분류에 포함하고, 노인간호 윤리와 법 영역에 노인간호의 윤리적 측면, 법적 측면, 노인학대를 포함하였다. 또한, 노인간호 서비스전달체계 영역에 노인간호 서비스의 연속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급성기 노인간호, 재가노인간호, 요양시설 노인간호를 포함하여 현재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에서 부족한 내용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반면, 노인간호 연구영역과 노인간호의 행정적 이슈 영역은 대분류에서 제외하였는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대학에서 노인간호 연구 영역은 간호연구 교과목에서, 노인간호의 행정적 이슈 영역은 간호행정 또는 간호관리 교과목에서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번 노인간호학 표준교과과정의 내용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조사한 국내 노인간호학 교과과정 운영 현황 결과 노인의 건강문제 영역에서 당뇨병, 암, 후천성면역결핍증, 전립선질환은 별도로 다루는 대학이 없었으며 요실금은 단지 3개교에서만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당뇨병은 내분비계에서, 암은 신체 각 체계 내에서 다루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고, 후천성면역결핍증은 우리나라에서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전립선질환과 요실금은 노인 환자에게 매우 흔한 질환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표준교과과정의 노인의 건강문제와 간호 영역에 포함하였다.

미국 남부의 42개 4년제 간호대학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결과[13] 노인간호학 교과목에서 교육해야 할 주요내용으로 10개 주제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노인에 대한 태도, 노년기 성장발달, 건강사정, 급성기 질환, 만성질환, 장기요양보호, 건강증진, 법적, 윤리적 문제, 문화적 특성에 따른 간호였다[8]. 본 연구결과로 제시한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이 이들의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내용을 포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미국은 다문화 국가로 문화적 특성에 따른 노인간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룬다는 것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우리나라에서도 그 중요도가 증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의 경우 노인간호학이 필수 교과목으로 운영중인 학교는 31.4%에 지나지 않아서[5], 학부교육과정에서 많은 학생들이 노인간호에 대한 교육을 전혀 받지 않고 간호사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15년 전인 2003년에 미국에서 이루어진 연구결과에서 노인간호학이 필수과목으로 개설된 학교가 80.0%인 점을 고려한다면[14] 국내 노인간호학 교육의 미비함을 알 수 있다. 노인인구 증가로 인해 간호대학 학생들이 졸업 후 접하게 되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노인이며, 노인간호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가를 고려한다면 노인간호가 학부 교육과정에서 독립된 필수 교과목으로 선정되어 모든 학생들이 노인간호학을 교육받고 졸업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15-17]. 또한, 현재 간호사 국가 면허시험에서 노인간호학은 성인간호학 과목시험에서 소수의 문제가 출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 간호사 국가 면허시험에서 노인간호학이 독립된 과목으로 존재해야 노인간호가 간호학에서 지식과 기술이 필요한 전문분야로 존재한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전국의 노인간호학 담당 교수를 대상으로 시행된 선행연구에서도 노인간호학의 발전을 위해서 노인간호학이 독립된 교과목으로 국가 면허시험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노인간호학이 간호사 국가고시에 독립된 교과목으로 포함되지 않아서 노인간호학의 중요성에 대한 대학의 인식이 부족하게 되어 노인간호학을 필수 교과목이 아닌 선택 교과목으로 개설하는 경향이 있었다[5]. 뿐만 아니라, 노인간호학 전공교수가 노인간호학을 교육하는 학교는 28.8%에 지나지 않고, 성인간호학 전공교수가 노인간호학을 교육하는 학교가 51.9%라는 연구결과를 보았을 때[9] 노인간호학의 교육 수준 향상을 위해 노인간호학 전공교수의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17].

본 연구는 국내 노인간호학의 대표적인 학술단체인 노인간호학회에서 연구를 수행하였고, 노인간호학회 전문가 그룹이 도출한 핵심역량, 교과과정의 대분류, 중분류, 학습목표를 전국의 노인간호학 교수에게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최종 핵심역량, 교과과정의 대분류, 중분류, 학습목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학부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에서 달성해야 할 핵심역량과 노인간호학 교육의 방향제시가 될 수 있는 표준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학부 노인간호학의 강의계획서를 통해 국내 노인간호학 교과과정 현황을 분석하였으므로 강의계획서에 제시하지 않은 소제목 등의 내용은 현황분석에 반영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사회 요구에 부응하는 노인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간호사의 양성을 위해서 학부 노인간호학 교육의 핵심역량과 표준 교과과정 및 학습목표를 제시하였다.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의 현황분석은 미국 NGNA [12]에서 제시한 핵심교과내용 9개 영역, 75개의 하위개념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간호학 학사과정의 노인간호학에서 달성해야 할 핵심역량 13개가 제안되었고, 표준교과과정으로 대분류 6개, 중분류 32개, 학습목표 197개가 제안되었고, 현재 노인간호학 교과과정에서 부족한 내용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간호학 교육의 표준화에 기여하고 양질의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부 노인간호학에서 달성해야 할 핵심역량은 13개, 교과과정에서 포함되어야 할 대분류 6개, 중분류 32개, 학습목표 197개를 바탕으로 노인간호학 교과서 개발 연구가 추후 필요하다. 또한, 개발된 노인간호학 교과과정 내용을 실제적으로 적용한 후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for 2015~2065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Dec. 8. [updated 2016 Dec 8; cited 2018 Jun 2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eng/pressReleases/8/8/index.board?bmode=read&bSeq=&aSeq=359108&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 Rosenfeld P, Bottrell M, Fulmer T, Mezey M. Gerontological nursing content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findings from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999;15(2):84–94.
3. Song MS, Kong ES, Kim GB, Kim NC, Kim CH, Kim CK, et al. Development of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um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3):376–85. https://doi.org/10.4040/jkan.2003.33.3.376.
4. Song MS.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systems of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208:67–70.
5. Kim CG, Kong EH, Kim SS, Kim SJ, Park YH, Song MS, et al.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in BSN programs in South Korea: present status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the futur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13;15(3):185–91.
6. Yeom HE. Review of educa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desirable attitudes toward gerontological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561–71. https://doi.org/10.5762/KAIS.2016.17.1.561.
7.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WHO Europe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um: WHO European strategy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nurses and midwives [Internet].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3. [updated 2003; cited 2018 Jun 26]. Available from: http://www.who.int/iris/handle/10665/107521.
8. Chon SJ, Kong ES, Kim GB, Kim NC, Kim CH, Kim CK, et al. A study of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5):808–17. https://doi.org/10.4040/jkan.2001.31.5.808.
9. Yun ES. Study on the curriculum of gerontological nursing-baccalaureate degree programs (BS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8;14(2):188–94.
10. Bae YS, Lee KS. Needs assessment of nurses and educators toward gerontological nursing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97;3(2):163–92.
11.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Recommended baccalaureate competencies and curricular guidelines for the nursing care of older adults [Internet].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10. Sep. [updated 2010 Sep; cited 2018 Jun 26] Available from: http://www.aacnnursing.org/Portals/42/AcademicNursing/CurriculumGuidelines/AACN-Gero-Competencies-2010.pdf.
12. Luggen AS, Meiner S. NGNA core curriculum for gerontological nursing 2nd edth ed. St. Louis, MO: Mosby; 2001. p. 344.
13. Malliarakis DR, Heine C. Is gerontological nursing included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990;16(6):4–7.
14. Berman A, Mezey M, Kobayashi M, Fulmer T, Stanley J, Thornlow D, et al. Gerontological nursing content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comparison of findings from 1997 and 2003.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5;21(5):268–75. https://doi.org/10.1016/j.profnurs.2005.07.005.
15. Gilje F, Lacey L, Moore C. Gerontology and geriatric issues and trends in U.S. nursing programs: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7;23(1):21–9. https://doi.org/10.1016/j.profnurs.2006.12.001.
16. Garbrah W, Valimaki T, Palovaara M, Kankkunen P. Nursing curriculums may hinder a career in gerontological nursing: an integr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Older People Nursing 2017;12(3)https://doi.org/10.1111/opn.12152.
17. Cline DD, Manchester J, Tagliareni ME. Gerontological nursing content in general medical/surgical textbooks: where is it?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12;33(3):150–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N=30)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Ownership Public 5(170)
Private 25 (83.0)
Location Seoul 9(30.0)
Kyunggido 7(24.0)
Kangwondo 4fL3.0)
Chungchungdo 3fl0.0)
Kyungsangdo 6(20.0)
Jeollado 1(3.0)
School systems College of nursing 16(53.0)
Division of nursing 2(7.0)
Department of nursing 12(40.0)

Table 2.

Curriculum Analysis of Gerontological Nursing Programs (N=30)

Content Program n %
Unit I 1. History of gerontological nursing 30 100
 Gerontological nursing 2. Status of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 -
3. Professional organization impacting gerontological nursing 30 100
4. Political organizations impacting gerontological nursing - -
Unit II 5. Demographic trends 23 76.7
 Issue and trends in gerontological nursing 6. Theories of aging 24 80.0
7. Aging processes 23 76.7
8. Myths and stereotypes of aging 1 3.3
9. Attitudes toward gerontological nursing 1 3.3
10. Advocacy - -
Unit III 11. ANA code for nurses and interpretive statements - -
 Legal/ethical issues in gerontological nursing 12. Client rights 22 73.3
13. Values clarification - -
14. Professional accountability 22 73.3
15. Informed consent - -
16. Legal interpretation of nursing actions 22 73.3
17. Malpractice - -
18. Competency issues - -
19. Treatment limitations - -
20. Legislation affecting nursing practice - -
Unit IV Unit IV-A 21. Supervision - -
 Administrative issues in gerontological nursing  Administrative issues 22. Planning - -
23. Staff development - -
24. Communication theory 6 20.0
25. Policy and procedure development 22 73.3
26. Resource allocation - -
Unit IV-B 27. Q.A. - -
 Evaluation 28. Peer review - -
29. Audit procedures - -
30. Documentation - -
31. Staff counselling - -
32. Legal aspect of evaluation - -
Unit IV-C 33. Federal regulation - -
 Regulatory & reimbursement issues 34. Reimbursement mechanism - -
Unit IV-D 35. Learning theory - -
 Education issues 36. Instructional methods for older adults 8 26.7
Unit V 37. Basic nursing research principles - -
 Nursing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38. Relevant literature/ current research reports literature - -
39. Application of literature and research findings - -
40. Human subjects protection in research - -
Unit VI 41. Long-term care 6 20.0
 Care & service dlivery 42. Community networks 6 20.0
43. Care plan options 6 20.0
Unit VII 44. Living arrangements 17 56.7
 Environment isses of older adults 45. Ethnic/cultural variables 6 20.0
46. Relocation theory - -
47. Transportation and mobility 17 56.7
48. Territoriality and personal space - -
49. Accessibility of community resources - -
50. Impact of crime/ elder abuse 21 70.0
Unit VIII 51. Health history 18 60.0
 Nursing assessment and data collection 52. Functional assessment methods 18 60.0
53. Interview techniques 18 60.0
54. Mental status assessment 18 60.0
55. Lifestyle patterns 18 60.0
56. Assessment of social supports-networks 18 60.0
57. Assessment of culture/ethnic variables - -
Unit IX 58. Cardiovascular issues 26 86.7
 Common health problems 59. Respiratory issues 26 86.7
60. Musculoskeletal problems 26 86.7
61. Nutrition 20 66.7
62. Diabetes - -
63. Cancer - -
64. Prostate problems - -
65. Urinary incontinence/ constipation 3 10.0
66. Skin problems 26 86.7
67. Gastrointestinal issues 26 86.7
68. Neurological/alzheimer disease 26 86.7
69. Hypothermia/ hyperthermia 26 86.7
70. Confusion 26 86.7
71. Mobility/immobility 21 70.0
72. Sleep issues 19 63.3
73. Poly pharmacy 24 80.0
74. Grief 11 36.7
75. Wandering 12 40.0
76. Sexuality and the older adult 15 50.0
77. Suicide 11 36.7
78. Affective disorders 12 40.0
79. AIDS - -
Others Complementary therapy 1 3.3
Rehabilitation 1 3.3

Table 3.

Recommended Competencies and Core Curriculum for Gerontological Nursing

Competency Content Program Number of learning objectives
1. Integrate relevant theories and concepts, and incorporate professional attitudes, values and expectations about physical and mental aging in the delivery of patient-centered care for older adults and their families. 1. Understanding of aging society and gerontological nursing 1.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4
2. Aging processes 4
3. Theories of aging 5
4. Older adults and families 3
10. Integrate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that foster partnerships with diverse experts who impact the care of older adults. 5. Role of gerontological nursing 4
4. Identify actual or potential mistreatment such as physical, mental or financial abuse, or self-neglect in older adults and refer appropriately. 6. Recognize changes and trends in health care policies for the care of older adults. 2. Legal/ethical issues in gerontological nursing 1. Ethical issues in gerontological nursing 3
2. Legal issues in gerontological nursing 8
3. Elder abuse 5
9. Facilitate ethical, non-coercive decision making by older adults and/or their families.
3. Facilitate safe and effective transitions across levels of care, including acute, community-based, and long-term care for older adults and their families, based on the analyses of living environment and availability of community resources. 3. Care and service delivery in gerontological nursing 1. Continuum of care for older adults 3
2.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3
3. Acute care 3
4. Community and home-based care 8
5. Nursing home care 4
6. Recognize changes and trends in health care policies for the care of older adults.
10. Integrate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that foster partnerships with diverse experts who impact the care of older adults.
11. Plan patient-centered care with consideration for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of older adults. 4. Health promotion for 1. Health screenings and check-up 2
2. Health education and counselling 3
13. Utilize resources/programs to promote functional, physical, and mental wellness in older adults. older adults 3. Self management 4
3. Facilitate safe and effective transitions across levels of care, including acute, community-based, and long-term care for older adults and their families, based on the analyses of living environment and availability of community resources. 5. Safety and environment issues of older adults 1. Safety for older adults 4
2. Fall prevention and management 4
3. Restraint-free care 5
4. Safety in medication 5
4. Identify actual or potential mistreatment such as physical, mental or financial abuse, or self-neglect in older adults and refer appropriately.
8. Promote adherence to evidence-based practice which promotes quality and safety in the nursing care of older adults.
2. Use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tools to guide nursing practice and to assess functional, physical, cogni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needs of older adults. 6. Common health problems and nursing for older adults 1.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5
2. Geriatric syndromes 6
3. Dementia 7
5. Implement strategies and use evidence-based guidelines to prevent and/or identify and manage geriatric syndromes. 4. Delirium 6
5. Depression and suicide 8
6. Urinary incontinence 6
7. Recognize the complex interaction of acute and chronic co-morbidities and associated treatments common to older adult. 7. Fecal incontinence 6
8. Prostatic hyperplasia 5
9. Urinary tract infection 6
8. Promote adherence to evidence-based practice which promotes quality and safety in the nursing care of older adults. 10. Pressure ulcer 5
11. Malnutrition and dehydration 11
12. Sleep disorder 6
10. Integrate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that foster partnerships with diverse experts who impact the care of older adults. 13. Pain 6
14. Hearing loss 6
15. Cataract 6
11. Plan patient-centered care with consideration for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of older adults. 16. Macular degeneration 6
17. Intimacy and sex 6
12. Advocate for timely and appropriate palliative and hospice care for older adults with physical and cognitive impairments. 18. Dying and grief 6